layoutAlgorithm (plotOptions properties)
배치 알고리즘을 설정합니다.
참고 : tilemap
에서는 타일의 모양을 설정하는 속성입니다.
Info
name |
type |
required |
description |
layoutAlgorithm |
string or object |
선택 |
배치 방법 설정 |
- networkgraph.layoutAlgorithm Info
name |
type |
required |
description |
enableSimulation |
boolean |
선택(false) |
노드와 링크가 모이는 실시간 애니메이션 사용 여부 |
friction |
number |
선택(-0.981) |
노드가 움직일 때 적용되는 마찰 정도 참고 : -0.999 ~ -0.85 사이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 |
gravitationalConstant |
number |
선택(0.0625) |
중간에 모이는 정도 |
initialPositionRadius |
number |
선택(1) |
노드들이 최초로 생기는 위치 (중심부터의 거리) |
gravitationalConstant |
number |
선택(0.0625) |
중간에 모이는 정도 |
linkLength |
number |
선택 |
링크들의 길이 참고 : 노드 사이의 배치로 인해 설정한 길이보다 짧거나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. |
- packedbubble.layoutAlgorithm Info
name |
type |
required |
description |
bubblePadding |
number |
선택(5) |
버블 간 padding 설정 |
gravitationalConstant |
number |
선택(0.01) |
서로 끌어당기는 정도 |
initialPositionRadius |
number |
선택(20) |
버블이 최초로 생기는 위치 (중심부터의 거리) |
splitSeries |
boolean |
선택(false) |
버블이 대분류를 기준으로 모일 지 여부 |
enableSimulation |
boolean |
선택(true) |
버블이 모이는 애니메이션 사용 여부 |
Enum
value |
sliceAndDice |
stripes |
squarified |
strip |
- tilemap.layoutAlgorithm (타일의 모양을 설정합니다.)
value |
description |
hexagon |
육각형 |
circle |
원 |
diamond |
다이아몬드 |
square |
사각형 |
Example
myChart.setOptions({
plotOptions: {
packedbubble: {
layoutAlgorithm:{
splitSeries: false,
bubblePadding:10,
gravitationalConstant: 0.02
}
}
},
series: [{
name: "서울",
data : [60,40,20,80]
},{
name: "인천",
data : [10,15,40,40]
},{
name: "부산",
data : [50,40,20,70]
}]
}, {
append: true,
redraw: true
});
제공 버전